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1

부활의 수 8 7의 언약의 숫자이다. 그래서 완전수이다. 그래서 성경은 7을 단위로 한다. 창세기 7절기, 성막의주요 기물, 언약! 이 모두가 7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계시록은 7의 3번 반복이다. 성경은 7로시작해서 7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창1장 절기 출애굽 성막 언약 1 오르 유월절 출애굽 번제단 아담 2 궁창하늘 무교절 홍해도하 물두멍 노아 (방주로 물가운데 구원) 3 뭍 풀/채소/과목 초실절 만나 떡상 아브라함 (창12:1) 4 마오르 오순절 구름/불기둥 등잔대 모세 (시내산에서 율법을 받은 날) 5 새와 바다짐승 나팔절 아말렉전투 분향단 다윗 (시편기도/전쟁) 6 짐승(풀) 사람(채소/열매) 속죄일 요단강 도하/여리고성 휘장 예수 7 안식일 장막절 가나안 시온좌 새이름 우리가 월-화-수-목-금-.. 2020. 3. 13.
열매의 수 9 아홉(9)은 숫자 중에 마지막 숫자일 뿐만 아니라 제일 큰 숫자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아홉(9)을 갑오(甲午)라고 해서 제일 큰 수로 친다. 제일 큰 수의 의미는 무엇일까? “너희가 제8년에는 파종하려니와 묵은 곡식을 먹을 것이며 제9년 곧 추수하기까지 묵은 곡식을 먹으리라”(레 25:22). 레위기 25장에 의하면 8은 파종을 의미한다면 9는 추수를 의미한다. 씨를 파종해서 마지막에 맺는 것은 열매다. 재창조된 백성은 씨를 파종해서 열매를 맺는다. 아홉(九)은 많은 수, 여럿, 모은다는 뜻을 함께 지니고 있다. 이것은 결실한 열매들을 의미한다. 알곡을 창고에 거둠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성별된 백성을 하나님의 곳간에 가득 채웠다는 뜻이다. “형제들아 주의 강림하시기까지 길이 참으라. 보라 농부가 땅에서 .. 2020. 3. 13.
모든 것을 포함하는 수 10 성경에서 10이라는 단어를 중요하게 사용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십계명일 것이다. 십계명이라고만 알고 있지만 출34:28은 십계명, 에세르 다바르, 10의 말씀이다. 그런데 그 10의 말씀이 곧 다바르 베리트라고 한다. 즉 언약의 말씀이다. 이렇게 말하고 있다. 무슨 말인가? 10의 말씀은 곧 언약의 말씀인 것이다. 명령형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우리를 향한 언약이 말씀이다. 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 일 사십 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언약의 말씀(다바르 베리트) 곧 십계명(에세르 다바르)을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출 34:28, 개정] 7이 맹세의 숫자자라고 했다. 즉 언약의 숫자이다. 10계명도 언약이다. 그러므로 10도 언약이다. 그렇다면 7과 10.. 2020. 3. 13.
성경은 언약(7-10-12)이다 이 숫자 모두 한 마디로 하면 언약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은 언약의책이다. 그래서 구약과 신약으로 나눈다. 따라서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언약으로 정리할 수 있다. 언약을 숫자로 표현하면 7-10-12으로 말할 수 있다. 이 숫자가 성경의 전체이다. 성경을 문자적/계명으로 보느냐 언약으로 보느냐에 따라 생명이 왔다 갔다 한다. 언약으로 보지 못하면 죽음이다. 언약으로 보지못하면 하나님의 열심이 아닌 자신의 열심으로 구원을 이루려하기 때문이다. 성경 전체는 언약이다. 따라서 성경전체를 7-10-12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창1장은 하나님의 언약이다. 7번 되풀이 되는 하나님의 맹세이다. 창1장은 성경 전체의 설계도이며 마스터 플랜이다. 그 언약이 역사속에 쭉 펼쳐지게 되는데 아담-노아-아브라함-모세-다.. 2020. 3. 13.